|
|
| ||
| 보도자료 |
| ||
∙문의 : 중기청 기술협력보호과 오세헌 과장(042-481-4399) | ∙ 윤세명 사무관(481-4458) ∙ 백원현 주무관(481-4453) |
성공한 벤처인이 주도하는
창업팀 선별 및 투자․보육, 드디어 본격 가동된다.
- 중기청,『이스라엘式 창업 프로그램』인큐베이터 운영기관 5곳 선정 - |
□ 성공벤처인 중심의 전문엔젤투자社(초기전문 벤처캐피탈, 창업투자재단 등)를 통해 엔젤투자ㆍ보육ㆍ멘토링과 함께 정부R&D를 지원하는 이스라엘式 창업 프로그램이 드디어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
□ 중소기업청(청장 한정화)은 지난 5월 사업계획을 발표한 바 있는 『글로벌시장형 창업 R&D사업(이스라엘式 창업 프로그램)』의 사업 운영기관(컨소시엄) 5곳을 선정하여 발표하였다.
* 선정기관(컨소시엄주간사, 가나다순) : 카이트창업가재단, 캡스톤파트너스, 케이큐브벤처스, 파운더스엔젤네트웍스(舊 프라이머), 패스트트랙아시아
<평가 개요>
□ 이번 운영기관 선정은 창업 현장의 평판을 반영하여 엄선하였으며, 창업기업에 대한 선별능력, 회수전략․글로벌진출 연계 등 전문적 보육능력, 연구중심대학 등과 기술개발 협력(연구인력 및 인프라) 등 향후 확장성 등을 위주로 평가하였다.
ㅇ 선정된 5개 컨소시엄(전문엔젤투자社)은 모두 성공벤처인이 본인의 직접적인 벤처창업-회수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적인 멘토링ㆍ보육프로그램을 갖추고 연구중심대학 등과 협력하여 보육공간을 구비한 곳이다.
ㅇ 또한, 실리콘밸리 등 글로벌 창업 시장 진출을 위한 협력 네트워크를 갖추고, 벤처성공 회수자금을 바탕으로 공격적인 엔젤투자 재원을 마련하는 등 창업기업이 투자 및 보육역량에 대해 신뢰를 보내는 곳이다.
<운영기관 선정 내용>
□ 우선 ‘카이트창업가재단’은 엔젤투자 및 창업가 전문육성재단으로 지난해 말 김철환(前 이미지앤머터리얼스 대표) 이사장의 성공벤처회수자금(100억원)을 바탕으로 설립되었으며,
ㅇ KAIST와 컨소시엄을 구성하였으며 연구중심대학의 기술 및 연구인력을 기반으로, ETRI 등 대덕연구단지내 출연연 등과 협력하여 하드웨어 중심 하이테크 창업을 집중 발굴 및 보육․투자할 계획이다.
□ 초기투자전문 L.L.C ‘캡스톤파트너스(송은강 대표)’는 1인 창조기업펀드 등 그간의 성공적인 초기투자 운용 경험을 바탕으로,
ㅇ 실리콘밸리를 중심으로 버나드 문, 이한주 대표 등 글로벌 멘토그룹을 보유한 ‘스파크랩벤처스(엑셀러레이터)’와 협력을 통해 국내 창업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성공적으로 지원하고, 아산나눔재단과 협력하여 보육공간 및 투자도 확대할 계획이다.
□ ‘케이큐브벤처스(임지훈 대표)’는 모바일 분야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투자 발굴을 계획하고 있으며,
ㅇ 업계에서 스타트업들의 신뢰를 받고 있는 카카오 김범수 의장을 중심으로 핵심인력들이 멘토링 및 자문을 담당하며, 서울대기술지주사BI 등과 보육공간 확대를 협의 중이다.
□ ‘파운더스엔젤네트웍스(舊 프라이머, 이택경 대표)’는 권도균(이니시스), 이택경(다음커뮤니케이션), 류중희(올라웍스*), 이광석(인크루트), 송영길(앤컴퓨팅) 대표 등 성공한 벤처 창업가들이 한양대BI와 연계하여,
* 글로벌 하이테크기업 인텔社에 국내 창업기업 최초로 M&A (‘12년)
ㅇ 그간의 소액투자(0.2~0.5억원)위주 운영에서 벗어나 보다 과감한 인큐베이팅 스타트업 투자로 전환하여 ‘창업가 밀착형 엑셀러레이터형 인큐베이터’를 운영할 예정이다
□ ‘패스트트랙아시아(박지웅 대표)’는 티켓몬스터 창업과정에서의 성공경험을 바탕으로 신현성(티켓몬스터), 노정석*(아블라컴퍼니) 대표가 포항공대 BI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였으며,
* 글로벌 인터넷기업 구글社에 국내 창업기업 최초로 M&A (‘08년)
ㅇ 패스트트랙아시아 운영과정에서 구축된 투자 및 보육역량, 벤처캐피탈, 엔젤투자자 등과의 긴밀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단순한 인큐베이터가 아닌 스타트업을 성장시키는 회사(컴퍼니 빌더) 로서 전문적인 창업팀 지원을 계획하고 있다.
<향후계획>
□ 이번에 선정된 운영기관은 창업 및 기술개발 지원 역량에 대한 정밀 실사를 토대로 협약을 거쳐 운영기관별 연간 창업팀 추천 T/O를 배정받으며, 투자재원 소진 등 결격사유가 없는 한 최소 6년간 사업권을 유지하게 된다. (3년단위 재심사)
□ 운영기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창업팀은 투자금액에 매칭하는 방식으로 최대 5억원의 정부 R&D 지원금을 지원받으며,
ㅇ 운영기관도 R&D지원금의 5%이내에서 운영지원을 위한 간접비를 지원받으며 창업팀 투자(15%, 1억원)로 투자대비 2배가량의 기업지분*을 보유 및 후속투자 기회도 확보하게 된다.
* 운영기관-창업팀간 지분협상 실시
□ 창업팀은 선정된 운영기관별 별도 안내에 따라 ‘기술창업 프로젝트’를 신청하며, 운영기관은 자체 평가를 통해 우수한 창업팀을 배정된 T/O에 따라 관리기관(엔젤투자협회)에 추천(1.2배수)한다
□ 한편 중기청은 7월중 선정된 운영기관별로 협약 체결을 거쳐 운영기관으로부터 창업팀 추천을 받아 8월부터 창업팀 선정을 본격 진행할 계획이며, 격월단위로 연중 계속 진행한다.
ㅇ 아울러, 시범사업 운영성과를 점검하여 내년 중 운영기관을 추가로 선정할 계획이다.
|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기업청기술협력보호과 윤세명 사무관(☎ 042-481-4458)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. |
붙임 1 |
| 운영기관 선정 결과 (총 5개, 가나다순) |
컨소시엄 주간사 | 대표 | 주요참여기관 및 성공벤처(기업인) | 보육공간 |
카이트창업재단 | 김철환 | 김철환(이미지앤머터리얼스) + KAIST + (ETRI)*
* 협의 진행중 | KAIST BI |
캡스톤파트너스 | 송은강 | 캡스톤 + 스파크랩(Bernard Moon, 김호민, 이한주) + 아산나눔재단 | 스파크랩 BI + 아산나눔재단BI |
케이큐브벤처스 | 임지훈 | 카카오(김범수) + (서울대기술지주사BI, 서울벤처인큐베이터BI, 동그라미재단BI)*
* 협의 진행중 | 자체BI + (3개기관 협의중)* |
파운더스엔젤네트웍스 |